성장판의 정의와 성장판의 위치
성장판은 인간의 뼈에서 발견되는 중요한 구조물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사람의 키가 자랄 수 있게 하는 신체 부위로 긴 뼈의 끝부분에 존재하는 연골조직이라 볼 수 있습니다. 아동과 청소년처럼 성장하는 시기에 성장판은 뼈의 길이 성장을 조절하고 성장기가 끝나고 나면 뼈의 길이 성장이 멈추게 됩니다. 성장기가 끝나면 뼈에 의해 형성되는 고정적인 구조로 변하게 되며 뼈의 길이 성장은 더 이상 일어나지 않게 됩니다. 성장판의 위치는 주로 긴 뼈의 끝에 위치하고 있으며 사람의 경우 팔뼈, 종아리뼈, 넓적다리 뼈 등에서 볼 수 있습니다. 주로 무릎 쪽에만 위치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지만 성장판은 대부분의 뼈에 존재합니다. 성장기에 있는 아동과 청소년에게 성장판이 열려있다는 말을 하는 것을 들어보았을 텐데 이 말은 성장판이 연골 상태라 성장이 가능한 시기라는 말이라 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성장판이 닫힌다는 말은 성장이 멈추는 것을 의미하여 성장판이 있던 자리에는 가는 선 형태의 흔적만 남는데 이것이 골간단과 골단을 나누는 선이 되기 때문에 흔히 골단선이라고 불립니다.
성장판이 성장과정에 미치는 영향과 성조숙증
뼈가 성장하여 키가 자라기 위해서는 성장호르몬이 필요합니다. 그럼 이 성장호르몬이 뼈에 작용하는 과정을 간단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뇌하수체에서 성장호르몬이 분비되면 성장호르몬이 간으로 이동합니다. 간으로 이동한 성장호르몬은 간세포에 작용하여 인슐린과 결합하게 되지요. 그 과정을 거치고 나면 간에서 뼈에 성장 과정을 촉진하는 성장인자인 IGF-1이 생성되게 됩니다. 성장호르몬 자체가 성장에 적용하는 것이 아니고 IGF-1이라고 하는 인슐린유사성장인가 뼈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지요. 사춘기의 성호르몬 또한 성장 과정에 영향을 미칩니다. 성호르몬의 경우 당장의 뼈 길이를 빠르게 크게 하는 역할을 하지만 동시에 성장판을 석회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청소년기 성호르몬이 나오기 시작하면 뼈의 길이를 담당하는 성장판이 닫히게 되어 성장이 끝나게 되는 것이지요. 최근 유전적, 환경적인 원인으로 인해 성호르몬이 원래 분비되어야 하는 나이가 아닌 10대 초반에 분비되는 경우가 늘어나 걱정하는 부모님과 자녀들이 늘고 있습니다. 성조숙증이라는 질병으로 성호르몬 조기 분비로 인해 키 성장이 일찍 끝나는 것을 의미하지요. 성조숙증을 예방하는 방법은 전년도 키 성장이 어느 정도 진행되었는지 확인하여 다음 년과 비교해 보고 눈에 띄게 급격한 성장을 하였을 경우, 또 만 10세 이전에 해당하는 나이인데 2차 성징의 증상이 보이지는 않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보통 2차 성징이 시작된 시점을 기준으로 남성은 8년 정도 여성은 4년 정도 자란다고 보고 있습니다. 그러나 성장판이 멈추는 시기는 개인별로 편차가 매우 크기 때문에 성장할 수 있다고 하는 시기 이후에도 키가 자라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유아 청소년기 성장판 검사와 성조숙증 검사 방법
유아기와 청소년기의 성장판 검사는 소아과 의사나 정형외과 전문의를 통해 받을 수 있습니다. 성조숙증 검사의 경우 아직 정신적으로 신체적 변화를 받아들일 준비가 되지 않은 시기의 아이를 건강하게 자랄 수 있도록 적절히 돕고, 성장판 검사는 뼈의 상태를 확인하여 저성장인 아이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돕는데 그 의미를 둘 수 있습니다. 성장판 검사 방법은 주로 손목, 손가락, 발목, 무릎 등을 X선 촬영을 통해 성장판의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만약 검사를 통해 아이의 저성장이 발견된다면 영양 부족이나 호르몬 이상, 만성 질환으로 인한 다양한 원인이 있을 수 있으니 소아과 의사나 내분비학 전문가와의 상담을 통해 적절한 치료법을 찾는 것이 좋습니다. 저성장은 발견과 조기 치료가 중요하므로 보호자의 주기적인 건강 검진과 성장 관찰을 통해 아이들의 상태를 지켜보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성조숙증 검사는 X선 촬영을 통해 뼈의 성장을 확인하고 체중, 성장 곡선을 바탕으로 정상적인 성장 발달과 비교해 볼 수 있습니다. 성조숙증은 건강상의 목적을 놓고 본다면 시급한 치료가 필요한 심각한 질병은 아니지만 어린이가 성조숙증으로 인해 학업이나 사회적 상호작용을 어려움을 겪을 수 있기 때문에 원인을 파악하고 성장 발달을 관찰하며 지원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절염과 건강한 무릎 관절을 위한 생활습관 (0) | 2023.07.22 |
---|---|
유아 아토피와 성인 아토피의 차이점 (0) | 2023.07.20 |
수인성 전염병의 정의와 치료법과 예방법 (0) | 2023.07.18 |
허리디스크의 원인과 허리통증을 개선 할 수 있는 생활습관 (0) | 2023.07.17 |
커피의 유래와 커피가 우리 몸에 끼치는 영향 (0) | 2023.07.14 |